분류 전체보기
-
금융위원회, 선불충전금 안전하게 환급하는 제도 시행(24/04/01)경제신문스크랩 2024. 4. 1. 22:12
헤드라인 해킹·화재 사고 생겨도 선불충전금 안전해요 입력2024.03.31. 오후 5:53 정부, 잔액 관리 개선 추진 충전 기록 실시간 외부 보관 업계에선 '이중규제' 불만도 기사링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81074 본문 금융위원회가 선불충전금 잔액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관해 화재·해킹 같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소비자에게 정확한 금액을 환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선불충전금은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업체에 쇼핑을 위해 넣어두는 충전금을 말한다. 2021년 소비자에게 환불 중단 사태로 수천억 원대 피해를 준 '머지포인트' 사태의 재발을 막고 충전금과 관련해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31일 금융위와 선불충..
-
빅테크, AI 경쟁력 갖추기 위해 인재 전쟁중(24/03/29)경제신문스크랩 2024. 3. 29. 19:03
헤드라인 "연봉 12억도 아깝지 않다"…美서 '귀한 몸' 된 직업 정체는 수정2024.03.29. 오전 8:38 실리콘밸리 인재 쟁탈전 AI 엔지니어 얼마면 돼? 저커버그 직접 러브콜 MS, 스타트업 1곳 인력 통째 흡수 오픈AI는 연봉 92만弗 제시 일반 개발자 감원해 인력 재편성 생성 AI 투자 경쟁도 후끈 아마존, 역대 최대 40억弗 쏟아부어 기사링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6023 본문 인공지능(AI)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기술기업들의 경쟁으로 AI 전문 인력 몸값이 치솟고 있다. 글로벌 빅테크가 경영 효율화 차원에서 일반 개발 인력은 줄이고 AI 인재를 대거 영입하며 ‘인력 재편성’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직접 구애 나선 빅..
-
네이버, 엔비디아 AI칩의 한계를 느껴 인텔과 동맹하여 자체 생태계 구축 계획(24/03/28)경제신문스크랩 2024. 3. 28. 20:48
헤드라인 네이버, 인텔과 동맹 … AI칩 생태계 4월 공개 입력2024.03.27. 오후 6:01 학습·추론칩 생태계 공동 구축 기사링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9350 본문 네이버와 인텔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이번 동맹으로 네이버 클라우드는 직접 설계를 통해 초거대 AI 학습·추론에 투입되는 비용을 낮추고, 인텔은 엔비디아가 장악한 AI 학습·추론 칩 시장을 뚫겠다는 포석이다. 27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인텔과 네이버클라우드는 다음달 8~9일에 미국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공동 발표한다. 이번 협업의 핵심은 인텔 계열인 하바나랩스가 개발한 AI 학습·추론 칩 '가우디'를 위한 플랫폼 생태계 공동..
-
UXL 재단, "쿠다" 의 대안이 되는 소프트웨어 개발중(24/03/27)경제신문스크랩 2024. 3. 27. 16:57
헤드라인 삼성·인텔·퀄컴·구글 '反엔비디아 동맹' 입력2024.03.26. 오후 6:16 기사링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4845 본문 인텔, 퀄컴, 구글, 삼성전자 등 주요 정보기술(IT) 기업이 엔비디아가 독점하고 있는 인공지능(AI) 플랫폼을 대체하기 위해 연합 전선을 구축했다. 지난해 9월 설립한 컨소시엄 ‘UXL재단’을 통해 엔비디아의 AI 플랫폼 ‘쿠다(CUDA)’를 대체할 신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계획이다. 엔비디아 칩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전략이다. 26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UXL재단은 엔비디아 외 다른 브랜드의 칩으로도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이다. 2007년 출시된 쿠다는 AI 관련 앱 개발을 지원하는 엔..
-
의대 교수들의 집단 사직, 이로인해 생기는 영향은?(24/03/26)경제신문스크랩 2024. 3. 26. 15:54
헤드라인 24개 의대 교수 사직서 제출 환자들 "우리 목숨이 하찮나" 입력2024.03.25. 오후 5:56 집단사직 첫날 병원 현장 우려와 달리 혼란 없었지만 환자 불안감 갈수록 커져 "암 수술 또 밀릴까봐 걱정" 기사링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8015 본문 의대 교수들의 집단 사직이 현실화된 첫날 우려했던 큰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전공의 이탈로 진료 공백이 장기화된 상황에서 의대 교수들마저 무더기로 사직한다고 알려지면서 환자들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환자단체는 "우리의 목숨은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으로 희생돼도 좋을 하찮은 목숨이 아니다"고 호소했다. 25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대 교수 집단 사직에 따른 대규모 외래 진료 축..
-
무장단체 호라산, 모스크바 공연장에 총기 난사, 폭발물 테러 (24/03/25)경제신문스크랩 2024. 3. 25. 17:10
헤드라인 모스크바 공연장서 '무차별 총격'…러시아 심장부가 테러 당했다 수정2024.03.25. 오전 1:01 20년 만에 최악 참사 최소 137명 사망 푸틴 대통령 5선 확정 직후 발생 화재로 건물 붕괴도…구조 난항 IS "우리가 공격" 용의자 11명 체포…"돈 받고 범행"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 공격 의심 美, 배후로 '아프간 IS 조직' 지목 기사링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3819 본문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 외곽의 한 대형 공연장에서 지난 22일 대형 민간인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 테러범들은 록밴드 공연에 온 시민들을 향해 총기를 난사하고 건물에 불을 질러 최소 137명이 사망하고 150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
-
딥페이크 근절, 법률 제정에는 시간 오래걸려... (2024/03/22)경제신문스크랩 2024. 3. 22. 15:13
헤드라인 "총선 앞두고 딥페이크·유해정보 뿌리뽑는다" 수정2024.03.21. 오후 7:59 방통위 허위정보 근절대책 AI 역기능 차단에 집중 생성·유포 단계별로 구체화 'AI 이용자 보호법' 제정 추진 플랫폼에 자율규제 강조 "뉴미디어 책임 강화해야" 기사링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276353 본문 4·10 총선을 앞두고 방송통신위원회가 21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한 '2024년 업무계획' 핵심 내용은 인공지능(AI) 부작용 방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AI 대중화 시대를 맞아 전 세계적으로 '딥페이크(Deepfake)' 등 부작용에 대한 문제점이 속속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딥러닝(Deep Learning)과 페이크(Fake)의 합..
-
SK엔무브, 세계 1위 액침냉각 기술보유 (2024/03/21)경제신문스크랩 2024. 3. 21. 13:44
헤드라인 "냉탕에 서버 식힌다…SK이노, 빅테크에 공급" 입력2024.03.20. 오후 6:12 수정2024.03.20. 오후 8:42 액침냉각 시장 선점 '가속' 국내 최초 하반기 상용화 앞둬 공기 냉각보다 전력 10%로 줄여 데이터센터 늘수록 수요 급증 기사링크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62392 본문 글로벌 시장 40조원 이상 전망SK이노베이션이 데이터센터의 열을 냉각 플루이드(액체)로 식히는 액침냉각 기술을 올 하반기 상용화한다. 국내 처음이다. SK텔레콤에 먼저 적용한 후 미국 델테크놀로지스 등 빅테크에 공급하는 계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액침냉각 기술은 데이터센터는 물론 에너지저장장치(ESS), 전기자동차 배터리 등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