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2기, 네트워크 우선 정책 펼친다. USF란(24/01/17)경제신문스크랩 2025. 1. 17. 17:01
헤드라인
美 트럼프 2기, 네트워크 우선 정책 펼친다
기사링크 :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30/0003276788?date=20250117
본문
트럼프 구글·넷플 ICT기금 부과 관측
국내 망공정기여 논의도 탄력
5G·위성통신 구축 규제 완화
韓장비기업 반사이익 전망도오는 20일 출범을 앞둔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콘텐츠사업자에 대한 기금 부과, 망 중립성 폐지, 사후규제 중심의 거대 플랫폼 시장조사 정책을 추진할 전망이다. 과거 미국 정부의 콘텐츠·플랫폼 중심에서 네트워크에 무게를 싣는 정책전환이 예상된다.
16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브랜든 카 연방통신위원회(FCC) 위원장과 앤드류 퍼거슨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장 등 ICT 분야 인선을 마치고 정책을 가동할 예정이다.
해외 언론과 국내 전문가들은 네트워크 우선 정책이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 2기 정부는 기금 개혁을 통해 구글·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빅테크의 망 공정기여를 핵심정책으로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브랜든 카 FCC 위원장 내정자는 지난 2021년 '망 공정(FAIR)기여법'을 제안했다. 일정 규모 이상 빅테크에게 보편서비스기금(USF)을 부과하도록 하는게 골자다. 또, 트럼프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마크웨인 상원의원과 마크 켈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동발의한 '브로드밴드 비용 절감법'도 유사 취지를 담았다. 두 법안은 지난 2일 회기만료로 폐기됐지만, 카 내정자의 강한 의지와 초당적 문제의식에 힘입어 미국 119대 의회에서 재발의 및 논의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국내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이와 관련, 국내에는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과 조인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일정매출·트래픽 이상 부가통신사에 ICT 기금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논의 결과에 따라, 국내 시장 논의에도 탄력이 붙을 수 있다. 국내 망 중립성 규제 강화 논의는 탄력을 상실할 전망이다.
미국에서는 빅테크가 인터넷 첫 접속을 위해 통신사에게 망 이용대가를 지불하고 있다. 그럼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위해 USF 부과를 추진하는 것이다. 망 중립성은 트럼프 정부 출범 전 법원 판결로 폐기가 확정된 상태다.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과 관련, 트럼프 2기 정부는 바이든 정부의 BEAD(광대역 자산 엑세스 및 배포) 법안을 계승·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BEADS는 2030년까지 약 424억5000만 달러를 투입해 미국 전역에 초고속 광대역망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트럼프 2기 정부는 BEADS에 '기술중립성'을 도입, 5G 고정무선접속(FWA), 위성통신 등 기술을 활용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할 방침이다. 트럼프 2기 정부는 대중 제재 확산 움직임까지 보이며, BEADS 확대는 한국 장비 기업에 반사 이익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플랫폼 규제와 관련, 트럼프 2기 정부에서는 사후규제 중심의 대응이 예상된다. 퍼거슨 FTC 위원장 내정자는 민주당 정부에서 추진된 빅테크 플랫폼의 시장 조사를 계속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 트럼프 인수위는 지난 2021년 조 바이든 정부 당시 발의된 인수합병 제재 등 사전규제를 담은 '빅테크 규제법'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한다. 오히려 인공지능(AI) 기업에 대해서는 규제와 인수합병 기준을 완화하는 방향의 정책 추진을 예고했다.
조대근 서강대 교수는 “ICT 분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핵심 기조는 규제완화로 정리할 수 있다”며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매우 빠른 규제완화로 네트워크 우선 정책을 펼칠 것이고, 빅테크에 대해서는 사후규제 활성화·합병규제 방향으로 완화되고 콘텐츠 책임 등과 관련해선 규제가 강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기사 내용의 수치화, 인사이트
미국 정부의 콘텐츠·플랫폼 중심에서 네트워크에 무게를 싣는 정책전환이 예상
해외 언론과 국내 전문가들은 네트워크 우선 정책이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구글·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빅테크의 망 공정기여를 핵심정책으로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일정매출·트래픽 이상 부가통신사에 ICT 기금을 의무화하는 법안을 발의했다.국내 망 중립성 규제 강화 논의는 탄력을 상실할 전망이다.
빅테크가 인터넷 첫 접속을 위해 통신사에게 망 이용대가를 지불하고 있다.트럼프 2기 정부는 바이든 정부의 BEAD(광대역 자산 엑세스 및 배포) 법안을 계승·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BEADS는 2030년까지 약 424억5000만 달러를 투입해 미국 전역에 초고속 광대역망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조대근 서강대 교수는 “ICT 분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핵심 기조는 규제완화로 정리할 수 있다”며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매우 빠른 규제완화로 네트워크 우선 정책을 펼칠 것이고, 빅테크에 대해서는 사후규제 활성화·합병규제 방향으로 완화되고 콘텐츠 책임 등과 관련해선 규제가 강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추가조사한 내용
보편서비스기금(USF)가 무엇일까?
USF(Universal Service Fund)는 모든 국민이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금입니다.
USF는 특히 농촌이나 저소득 지역처럼 통신 서비스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지역에 사용됩니다.
이 기금은 4가지 주요 프로그램을 통해 운영되는데요
1. 고속 인터넷 지원(E-rate): 학교나 도서관 저렴한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여 디지털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농촌 의료 서비스 지원(Rural Health Care): 농촌 지역의 병원과 의료 기관이 인터넷과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격 의료를 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
3. 저소득층 지원(Lifeline): 저소득층 가구에 통신 서비스 요금을 보조하여 통신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입니다.
4. 고속 인터넷 확산(High-Cost): 고속 통신 서비스 제공이 경제적으로 부담되는 농촌 지역에 서비스 제공을 촉진하기 위해 사업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USF는 주로 통신 회사들이 납부하는 수수료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며, 이 수수료는 보통 소비자의 통신 요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모든 사람들이 기본 통신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 USF의 주요 목표입니다
오늘 내용 요약
트럼프 2.0 시대로 접어들면서 네트워크에 무게를 싣는 정책전환이 전망된다.
트럼프는 브랜든 카 연방통신위원회(FCC) 위원장과 앤드류 퍼거슨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장 등 ICT 분야 인선을 마치고 정책을 가동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일정매출·트래픽 이상 부가통신사에 ICT기금 의무화 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트럼프 2기 정부는 바이든 정부의 BEAD(광대역 자산 엑세스 및 배포) 법안을 계승·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BEADS는 2030년까지 약 424억5000만 달러를 투입해 미국 전역에 초고속 광대역망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USF, 보편서비스기금은 모든 국민이 기본적인 통신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금이고 미국에서 시행중입니다.
스크랩 후 내 생각
트럼프가 당선되고 뭔가 발전에 필요한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미국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앞으로도 경제뉴스를 꾸준히 보며 흐름을 보면서 지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현직자에게 질문
-
추가자료 링크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의 반도체" SMR, 워런 버핏과 빌게이츠 힘을 합쳐 사업 진행(24/01/16) (3) 2025.01.16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빈번한 개인정보 유출사고, XSS공격이란?(24/01/15) (1) 2025.01.15 NHN클라우드, 클라우드 자격증 발급, 국내 클라우드 시장의 전망은?(24/01/14) (3) 2025.01.14 SKT, 클라우드社와 GPU대여 사업 추진, GPU가 화두인 이유는?(24/01/13) (0) 2025.01.13 현대차그룹 내수경기 살리기 위한 역대급 투자, 낙수효과란?(24/01/10) (1) 2025.01.10